티스토리 뷰
(공유경제,셰어링,sharing) 공유경제에 대하여!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차이는 개인소유가 허용되는 가였죠! 물론 현재의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은 개인이 경제활동을 자유롭게 해서 갑부들이 속출하고 있고, 북한도 장마당이 활발하게 열리고 있어 수정형 자본주의가 등장하고는 있지만요.
이제는 개인이 소유하는 단계가 아닌 모두가 같이 소유하는 공유경제의 시대로 진입했다고 봅니다.
특히 최근에 전세계의 경제가 좋지않고, 파리기후협약과 같이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작금에 공유경제란 상당히 의미가 있고 주목할만한 이슈인 것만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공유란 물품이나 설비등을 자기가 소유하지 않고 다른 사람 것을 빌려쓰거나, 자기 소유의 물건을 쓰지 않을 때 다른 사람들에게 빌려주는 것을 말하며, 이제는 물품이나 설비 뿐만 아니고 서비스나 인력도 공유경제로 이용되어 지고 있습니다.
공유 경제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과잉소비사회에 대한 반발로 개개인의 여유있는 자원을 서로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에서 출발했습니다.
이제는 더이상 소유하지 않고 공유해서 알뜰하고 경제적으로 사는 시대가 된 셈입니다.
여기 포스팅에서는 공유경제하면 떠올리는 우버와 에어비, 실제로 경제적 대가가 없는 위키피디아와 리눅스 그리고 카쉐어링과 자전거쉐어링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대표적인 공유경제의 세계적인 성공사례로 에어비앤비와 우버에 대해서도 알아보죠!
에어비앤비와 우버는 불법논란이 많은데요, 모바일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기존에는 없던 강력한 새로운 서비스가 생겨나면서 기존의 질서로 인정되던 시스템들과의 충돌로 혼란기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향 후 이런서비스가 계속 생겨날거며 소비자가 좀더 편해지는 쪽으로 흘러가지 않겠어요?
1.자전거 쉐어링
소망이가 전에 포스팅한 서울시자전거 따릉이는 자전거쉐어링이죠!
저번 포스팅에서도 서울시자전거 따릉이에 대해 알아봤지만 서울시에서 자전거를 소유하지 않고 공유경제개념으로 아무나 필요할 때 탈 수 있도록 서울자전거 따릉이를 운영하고 있어요!
아쉬운 점은 서울시에서만 따릉이를 대여하고 탈 수 있다는 점인데요...
그리고 G Bike지바이크도 있는데 지바이크에 대해서는 별도로 포스팅할 예정이예요!
2. 카쉐어링
드디어 한국에서도 카셰어링업체가 나왔습니다. 쏘카,그린카, 씨티카, 세이브카, LH행복카 등이 있습니다.
차는 출퇴근할 때 집에 박혀두었다가 주말에 이용하거나 가끔 이용하기만 하는 분들은 솔깃한 이야기죠! 많은 돈을 들여 차를 사고 보험에 들고 하지만 정작 활용도는 낮고 없으면 불편한 분들은 이제 카쉐어링인 쏘카를 이용하시면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시간만큼만 이용할 수 있는 공유의 시대가 왔습니다.
카셰어링은 유럽에서 굉장히 크게 성공을 거뒀으며, 한국에서도 가히 폭발적으로 호응을 얻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 소유하지 마시고 필요할 때만 이용하십시오!!!
실제로 경제적 이득이 없이 공유경제를 말하려면 위키피디아와 리눅스를 들 수 있죠!
3. 위키피디아
(사진출처 : 위키백과 캡쳐)
인터넷상의 무료 백과사전으로, 전 세께 여러 언어로 모두가 함께 만들어 가는 진화하는 자유백과사전이죠!
위키피디아야 말로 진정한 공유경제로 볼 수 있는 것이 개인들이 어떤한 경제적 대가를 받고 사전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협력해서 만족해하기 때문이죠!
4. 리눅스 (Linux)
NOS(네크워크 운영체제)로 유명한 리눅스는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해서 이제는 누구나가 참여해서 만들어 나가는 오픈소스이죠!
(사진츨처 ; 위키백과캡쳐)
리눅스 또한 경제적 대가를 받고 개인이나 단체가 참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진정한 공유경제라고 볼 수 있겠죠!
5. 우버택시, UBER, 모바일 차량예약서비스
공유경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우버화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우버는 처음에는 공유경제로 출발한 것이 확실하나 점차 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미국 뉴욕에서는 차를 랜트해서 우버로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는 거죠!
우버는 외국에서는 폭발적인 인기로 급성장했지만, 한국은 물론 전세계에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모바일 차량예약 서비스입니다.
우버는 우버블랙, 우버엑스, 우버택시인 3가지가 있습니다.
우버블랙은 리무진 회사, 우버택시는 기존의 영업용택시를 이용하며, 우버엑스는 운전면허소유자분들이라면 모두 등록하면 영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미국에서 우버택시는 가격도 싸고 편리해서 상당히 호평을 받고 있지만, 한국에서의 우버택시는 요금보다는 소비자가 필요할 때의 편리성과 여성분에게는 안전성 때문에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IT기술이 발달로 이런 서비스들이 생겨날꺼고, 아담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처럼 자유시장경제에 맡겨야 한다는 시민단체측의 입장과 자율로 인한 불법이 판치는 것은 안된다는 서울시의 주장으로 팽팽하지요! 여러분은 어느 쪽인가요?
중요한 것은 향 후 점점 바뀌어질 것이라 것과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인 무인자동차시대가 10년내에 도래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논쟁이 필요할까요? 그 후가 궁금해집니다.
참고로 카카오택시는 카카오사용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택시와 연계해서 운행하므로 문제는 없습니다.
(사진출처 : 우버앱)
2. 에어비엔비 AIRBNB
우버와 함께 공유경제하면 떠올리는 것이 에어비엔비죠!
시작은 확실히 공유경제로 시작은 했으나 현재는 개인이 오피스텔 등을 임대해서 등록하여 불법으로 에어비엔비화하는 사례도 있다하니 이것은 공유경제의 근간이 개인이 자발적으로 경제대가성이 없는 것하고는 조금 멀어져가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소망이도 여행을 좋아하는데 여행을 갈 때 숙소가 항상 마음에 걸리죠? 너무 식상한 호텔이나 숙소에서 지내다 보면 역시 집이 그리워지는데요.
이럴때 다른 사람의 집이지만 우리집과 같은 포근하게 느껴지는 시설에 자면 어떨까요?
스타트업의 성공사례인 에어비앤비는 이렇게 탄생했습니다. 즉, 전문숙박업이 아닌 일반 가정집을 빌려 여행에서 숙박하는 것이죠!
여행자는 기존의 숙박시설보다 싸게 빌리고 현지인과 만날 수 있어 좋고, 대여자는 어짜피 자기 집이 일부가 남아서 빌려주고 수익이 생기니까 '윈윈'이라고 할 수 있죠!!!
2016년 2월 17일 정부에서 투자활성화대책을 보면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숙박,차량,금융 분야공유에 대해서 발표하였습니다.
그 중 숙박공유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숙박업 등록 없이 주택을 숙박서비스에 제공하면 불법이며
영업일수(연간 120일 이내)에 제한을 두고 규제프리존(부산, 강원, 제주)에 우선 시범 도입하고, 추후 전국적으로 확대 추진한다고 되어 있네요!
공유경제에서 기존의 영업과 겹치는 부분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것 같네요!
마냥 규제만 할 수 없잖아요!
중요한 것은 향 후 이런 공유경제의 비지니스들이 모든 분야에서 적용될 것이고, 기존의 영업범위와 겹칠 때 정부나 기업은 어떻게 현명하게 잘 융합되도록 풀어나갈 건이가 하는 것입니다.
'경제생활 > 마케팅 • 경제 • 짠돌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미수령연금찾기, 금감원발표 미수령연금 4조원대, 숨은 보험금조회하기 (0) | 2018.05.26 |
---|---|
[에어비엔비,airbnb]공유경제, 해외숙소찾기,개인소유집빌리기 (0) | 2018.05.25 |
(국세청홈택스) 국세환급금 조회,국세환급금 찾기 (0) | 2018.05.23 |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앱, 인터넷뱅크, 카카오은행, 인터넷뱅크 (0) | 2018.05.23 |
[공유경제] 서울시자전거 따릉이,서울시 공유자전거 따릉이 (0) | 2018.05.21 |
- Total
- Today
- Yesterday
- on-off ㅡmix
- 공유경제자전거
- 일본어공부
- 에어비앤비
- Airbnb
- 부업
- 카카오톡
- 링크프라이스
- 서울시공유자전거
- 쏘카
- socar
- 지바이크
- 텐핑
- 교육찾기
- event-us.kr
- 어필리에이트
- 행사찾기
- 서울시자전거따릉이
- 10PING
- 이벤트찾기
- 이벤터스
- 제휴마케팅
- 공유경제
- 따릉이
- 일본어
- gbike
- linkprice
- affiliate
- 암호화폐
- 서울시공유자전거따릉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